제목 | [철학연습] 근대의 시작과 데카르트(둔산) | ||||
---|---|---|---|---|---|
작성자 | 조세종(sjcho) | 작성일 | 2013-01-25 | 조회수 | 43075 |
첨부파일 | 1359075377.ppt | ||||
1/17, 24(목) 10:30~12:00 둔산민들레
참석인원 : 5명
주제: 근대의 시작과 데카르트
(첨부파일은 ppt자료입니다)
근대의 시작
중세 말기 : 신앙으로부터 지식(이성, 철학)을 분리
근대의 원동력 : 르네상스(고대의 부활)와 인문주의
종교개혁, 자연과학, 지리상의 발견
(3대발명: 활판인쇄술, 화약, 나침반)
근대 : 14~19세기, 600년간
근대의 특징 : 비판적 정신, 권위와 전통에 대한 반동, 절대주의에 항의, 자유
정치; 권력은 교회에서 국가로
경제; 장원제, 농노제, 길드제에서 자유방임주의 상공업
학문; 교회 권위에서 자유로운 탐구, 교회칙령에서 유용성과 효율성에 따라
근대철학; 데카르트 1596~1650 <영국 경험론> 아는 것이 힘
베이컨 1561~1626 <대륙 합리론> 꼬기토 에르고 숨, 방법적 회의
르네상스
중세 : 지중해 연안의 유럽, 로마 게르만족, 가톨릭
근대 : 대서양 연안의 유럽, 앵글로 색슨족, 개신교
르네상스는 재생이란 뜻
바사리 : 고대 미술의 재생
미슐레 : 고대 문예부활과 근대 문화창조
부르크하르트 : 자연과 인간의 발견
1.대륙의 발견, 교역 확대
2. 자연은 긍정적, 유용
종교개혁 : 믿음과 은총의 구원의 길
루터 1483~1546
아우구스티노회 수도자, 신학교수
‘면죄부에 관한 95개의 논제’를 비크겐베르크 성당 정문에 게시
마인츠 대주교 알브레히트, 재정 위기를 위해 면죄부 판매
그에 대한 신학적 문제 제기
의인은 신앙으로 살리라(로마서)
믿음과 은총에 의해서만 구원을 받는다는 구원관
1519년 라이프치히 논쟁, 교황과 공의회의 가류성 주장
1520년 6월, 루터 파문
루터의 종교개혁 근본 취지: 초대 그리스도교로 돌아가자
1. 신앙에 의한 의인(義認)
2. 말씀의 권위
3. 모든 신도의 사제성(priesthood)
근대 자연과학
자연과학은 근대인의 산물
관찰, 실험, 검증, 재생 - ‘자연의 노예’에서 ‘자연의 주인’으로
사변적이고 추상적인 사고(연역법)에서 귀납적이고 경험적인 사고(귀납법)
자연과학→ 산업혁명 : 문명의 대전환 (농경사회→산업사회)
발견발명 :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케플러의 유성,
갈릴레오의 망원경, 뉴턴의 만유인력
과학혁명 : 16~17세기 천문학, 역학, 생리학의 획기적 전환(방법, 목적 등)
사상적, 사회적 변화의 배경
뉴턴의 고전역학, 베살리우스의 해부학, 하이비의 생리학
데카르트, 페르마, 뉴턴, 라이프니츠의 수학
- 두 가지 형태로 진행
1) 개념의 혁신 : 천문학, 역학, 고전물리학
2) 실험중시 베이컨 과학 : 열 빛 소리 전기 자기 화학
-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과학혁명 → 새로운 패러다임을 갖는 정상과학
→ 변칙성과 정상과학의 위기
→ 과학혁명 2 → 새로운 패러다임을 갖는 정상과학 2
→ 변칙성과 정상과학의 위기 2 → ……
과학혁명과 정상과학의 상호 보완성
대륙합리론 : 이성주의, 합리주의
이성적 사유에 의거 연역 (경험에 의존하지 않는 이론)
르네 데카르트 1596~1650: 방법적 회의
프랑스 중부 투렌(지금의 데카르트 시)에서 주의회고문인 부유한 법률가의 아들로 탄생
돌 지나고 엄마의 죽음, 허약한 유년시절
10살 때부터 9년동안 예수회 신학교에서 수학, 자연학, 고전, 논리학, 신학 등 공부
수학에 재능을 보인 학생
방법적 회의
근대철학의 아버지 / 수학의 아버지
중세 스콜라철학의 학문(사변적, 추상적) → 합리론 / 연역적 (비판적 평가)
대수학 개발 (기하학에 응용)
추론의 세계 + 수학적 방법 = 확실성 보장
수학적 방법 : 단순하고 확실한 근본개념(수학) → 엄밀한 연역적 방법 → 이해
진리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 ① 명증적 직관(直觀) + ② 필연적 연역
① 직관 : 갈릴레오의 방법에 대한 연구
② 연역 : 감각적 경험의 주관성을 넘어 외적 지식으로 도달이 가능? → 방법적 회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방법적 회의론 : 기초가 명확하지 못한 일체의 지식을 의심하여 과감히 버리고
참된 지식을 찾는 것
“방법적 회의를 통해 모든 것을 의심하지만,
더 이상 의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의심할수록 더욱 명백해지는 것은
‘내가 지금 의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방법서설> 과학적 작업(지식의 재구성)을 위한 방법론적 규칙
1.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분명한 것만 참이라 받아들일 것
2.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 가능한 작은 부분들로 분석할 것
3. 단순한 것부터 복잡한 문제로 나아갈 것
4. 위의 것들을 열거하여 빠트린 것이 없는 지 검토할 것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 제1원리 명제
자아 존재의 확실성, 진리의 기준
추리를 통한 것이 아닌 직관에 의한 것
: 첫째, 자기를 의식하는 직관
둘째, 자기 존재를 깨닫는 직관
즉, ‘나는 생각한다’에서 ‘내가 있다’는 삼단논법식 추리가 아니라
‘생각하고 있는 나의 존재’는 의심할 수 없다
따라서, ‘나’는 사유하는 정신의 주체로서의 인간 존재
→ 근대적 자아관 확립
제1원리 : 더 이상 의심할 수 없는 명석 판명한 진리의 기준
명석(clear) : 정신이 인식 대상의 구성요소를 하나하나 세밀히 바라보는 것
판명(distict) : 그 대상이 다른 대상과 학연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
제1원리를 찾기 위한 방법론적 회의
① 특수지 : 감각적인 지식에서 오는 회의
(보거나 듣게 되어 알게 된 지식을 믿을 수 있는가)
② 일반지 : 경험 일반에서 오는 회의
(꿈이나 공상과 현실의 경계는 어디인가)
③ 보편지 : 물체가 물체이기 위한 보편적인 성질
(수학도 언제나 우리를 착각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지 않는가)
따라서 속고, 착각하고, 의심하고 있는 나(사유하는 주체)는 존재한다
즉, 나는 사유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사유 : 지정의(知情意)
(모든 것이 거짓이라 해도 거짓이라 생각하고 있으니 존재하고 있다)
의심할 수 없는 확실한 주체인 ‘나’는 신이 없어도 스스로 사고 할 수 있다
→ ‘나’, 신으로부터 독립된 존재
확실한 지식의 출발점, 주체철학
인간이 자연세계(대상)으로부터 독립
이원론적 실체관
데카르트의 실체관
1) 자족적이고 독립적인 존재
2) 변함없는 불변적인 본질
→ 1), 2) 둘 다 만족하는 실체는 신 (무한실체)
1) 독립성과 자족성을 만족하는 실체는 정신과 물체 (유한실체)
실체구분의 의미 : 이원론
자연을 물질적인 자연으로 보면 자연의 법칙을 발견하기 쉬움
자연에서 분리된 정신은 인간에게 귀속
→ 사유하는 실체(정신)과 연장(延長)된 실체(물체)
사유: 정신은 의심, 이해, 상상 등을 포괄하는 의식을 갖는다
연장: 물체는 공간에서 지속성과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사유와 연장은 정신과 물체의 속성
이분법적 접근 : 정신과 물질, 주체와 객체, 관찰자와 관찰 대상
인과성 상호작용설 : 정신과 물체는 서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인간은 사유하는 실체(정신)인 동시에 연장된 실체(육체)
개별적인 인간은 두 개의 실체를 갖는다
송과선(가설) : 정신이 자기 의지를 육체에 전달하고
육체가 자신의 활동을 정신에 전달
본유관념
: ‘생각하는 나’의 신의 존재 증명을 위함
세 가지 관념
① 내 바깥에서 들어오는 외래관념, 습득관념(감각적)
: 경험으로 얻은 지식
② 내 의지에 따라 생겨난 인위관념
: 용, 유니콘)
③ 생각하는 나에서 비롯된 본유관념, 생득관념(선천적)
: 수학의 원리- 삼각형은 꼭지점이 세 개다,
도덕의 원리- 측은지심,
신의 존재증명- 인간에게 이성(직관, 추리능력)을 부여
근대철학의 인식론을 위해 데카르트가 신을 끌어들인 이유
: 주체(사람)와 대상(자연) 사이에 진리를 판단해 줄 절대적 존재자로서의 제3자
그런 진리의 보증자가 되려면 진리를 인식할 능력이 있는 절대적 재판관이어야
데카르트의 신 존재증명
: 신이 존재하기 때문에 신의 관념이 있다
즉, 신의 관념을 통한 무한 실체인 신의 존재 증명
1) 나의 경험에 입각한 증명
: 내 안에 내재해 있는 본유관념 중에 완전하고 무한한 관념(덕, 성실)
2) 신 관념 자체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
: 지고하고 완전한 신의 관념
(불완전한 인간이 완전한 것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완전한 신의 관념은 신에게서 나온다) |
|||||
이전글 & 다음글
- 이전글
- [철학연습] 제5장 중세철학 & 사도바울
- 다음글
- [철학연습]근대의 시작